※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미학에서 ‘닮음’을 뜻하는 단어인 ‘유사성(resemblance)’과 ‘상사성(similitude)’의 구별에는 중요한 철학적 함의가 깔려 있다. 철학자 푸코는 유사성과 상사성을 구분해서 설명하였는데 유사성은 원본을 전제하는 한에서 그 원본과의 가까움을 말하고 상사성은 원본이 존재하지 않고 각 존재들 사이의 같음과 다름이 있을 뿐이라 말한다. 즉 유사성이 현전의 형이상학-원본과 복제, 대상과 표상, 실재와 사유의 일치-을 전제한다면, 원본 없는 복제인 상사성은 근대적 형이상학의 붕괴를 함축한다. 원본이 없다면, 그것을 증언해야 할 인식론적 의무도 사라진다. 그래서 유사성의 개념이 세계에 대해 유일하게 올바른 객관적 기술이 존재한다는 믿음을 전제한다면, 상사성의 개념은 그런 절대적 기술이란 존재하지 않으며, 존재하는 것은 오직 서로 조금씩 차이를 내는 다양한 해석들의 놀이뿐이라는 믿음 위에 서 있다.
- 중략 -
(나) 과학에서 닮음을 이해하는 것은 실제 크기의 장치나 건물 등을 만들지 않고 모형실험을 수행하여 실제의 다양한 현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과학에서 상사는 기하학적 상사, 운동학적 상사, 그리고 역학적 상사가 있는데 상사성을 판별하기 위해서 무차원 수의 개념이 쓰인다. 무차원 수란 차원이 없는 수를 의미한다. 차원이란 측정할 수 있는 물리량의 단위를 뜻하며 질량은 [M], 길이는 [L], 시간은 [T], 온도는 [θ], 몰수는 [N] 등과 같은 기본 차원과 이로부터 유도되는 유도 차원으로 구분된다. 밀도는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이므로 기본 차원인 질량[M]과 길이[L]의 세제곱으로 이루어진 [M/L3]의 유도 차원을 갖는다. 반면에, 무차원 수는 차원을 갖는 물리량들을 적당히 곱하거나 나누어 얻어지는데, 두 정삼각형의 닮음비는 삼각형의 변의 길이의 비가 되며 이 값은 길이[L]를 길이[L]로 나눈 값이므로 단위가 없는 무차원 수가 된다.
- 이하 생략 -
<KSP 국어문제연구소>에서는
문학, 독서, 화법, 작문, 문법(언어)에 관한 방대한 자료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국어 공부를 위한 학습 자료실!
<KSP 국어문제연구소>가 최선을 다해 국어 자료를 제공합니다.
<국어독학카페> 바로 가기~~
낱개로 문제나 국어 해설을 구입하고 싶으시면~~
국어 해설과 문제를 제공하는 홈페이지로 방문해 보세요~~
<국해문> 바로 가기!
#KSP국어학원 #평촌국어학원 #안양국어학원 #EBS수능특강문학해설 #EBS수능완성문학독서자료 #EBS연계교재변형문제 #국어독학카페 #국어문학기출문제 #화법과작문문제 #언어와매체내신대비자료 #고등국어문제 #중등국어내신대비자료 #문법문제 #화법과작문문제 #문법이론정리 #화법과작문내용정리 #고전소설문제와해설 #현대소설문제와해설 #현대시해설과문제 #수능기출해설과자료 #수능문학자료실 #학력평가자료 #모의고사기출문학해설 #모의고사문학변형문제 #모의고사기출변형문제 #2021학년도수능특강자료 #KSP국어문제연구소 #국어문제연구소 #2021학년도수특문학해설과문제 # 모의고사기출문학해설과변형문제 #2020년 모의고사 해설과변형문제 #2019년 모의고사 해설과변형문제 # 2021학년도 수능기출 해설과 변형문제 #2022학년도 수능특강 해설과 변형문제 #언어와매체 적용학습 변형문제
[2022학년도 수능특강 독서] (인문 예술 8) 진보 사관의 형성과 변화 과정-해설, 변형 문제! (0) | 2021.05.13 |
---|---|
[2022학년도 수능특강 독서] (주제 통합 9) 생물 계통수와 몬텔리우스의 형식학-해설, 변형 25문제~~ (0) | 2021.05.12 |
[2021년 4월 고3 모의고사 독서] (기술) '디지털 이미지 압축 기술'-해설, 변형 문제! (0) | 2021.05.06 |
[2022학년도 수능특강 독서] (주제 통합 7) '리벳의 자유 의지 실험'-해설, 변형 문제!! (0) | 2021.05.05 |
[2021년 4월 고3 모의고사 독서] (주제 통합) '스톨니츠와 비어즐리의 미적 대상'-해설, 변형 문제!! (0) | 2021.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