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금을 캐라니까 밤낮 피만 내다 말라는가. 빚에 졸리어 남은 속을 볶는데 무슨 호강에 이 지랄들인구. 아내는 못마땅하여 눈가에 살을 모았다.
“산제 지낸다고 꿔 온 것은 은제나 갚는다지유?”
뚱하고 있는 남편을 향하여 말끝을 꼬부린다. 그러나 남편은 눈썹 하나 까딱하지 않는다. 이번에는 어조를 좀 돋우며, “갚지도 못할 걸 왜 꿔 오라 했지유!”
하고 얼추 호령이었다.
이 말은 남편의 채 가라앉지도 못한 분통을 다시 건드린다. 그는 벌떡 일어서며 황밤주먹을 쥐어 창낭할 만치 아내의 골통을 후렸다. “계집년이 방정맞게.”
다른 것은 모르나 주먹에는 아찔이었다. 멋없이 덤비다간 골통이 부서진다. 암상을 참고 바르르 하다가 이윽고 아내는 등에 업은 어린아이를 끌러 들었다. 남편에게로 그대로 밀어 던지니 아이는 까르륵 하고 숨모는 소리를 친다.
그리고 아내는 돌아서서 혼잣말로, “콩밭에서 금을 딴다는 숙맥도 있담.” 하고 빗대 놓고 비양거린다.
“이년아 뭐!”
남편은 대뜸 달겨들며 그 볼때기에다 다시 올찬 황밤을 주었다. 저그나면 계집이니 위로도 하여 주련만 요건 분만 폭폭 질러 놓려나, 예이 빌어 먹을 거, 이판 사판이다.
“너허구 안 산다. 오늘루 가거라.”
아내를 와락 떠다밀어 밭둑에 젖혀 놓고 그 허구리를 발길로 퍽 질렀다. 아내는 입을 헉 하고 벌린다.
“네가 허라구 옆구리를 쿡쿡 찌를 제는 은제냐, 요 집안 망할 년.”
그리고 다시 퍽 질렀다 연하여 또 퍽.
이 꼴들을 보니 수재는 조바심이 일었다. 저러다가 그 분풀이가 다시 제게로 슬그머니 옮아올 거슬 지르 채었다. 인제 걸리면 죽는다. 그는 비슬비슬하다가 어느 틈엔가 구덩이 속으로 시나브로 없어져 버린다.
㉠볕은 다사로운 가을 향취를 풍긴다 .주인을 잃고 콩은 무거운 열매를 둥글둥글 흙에 굴린다. 맞은쪽 산밑에서 벼들을 베며 기뻐하는 농군의 노래.
“터졌네, 터져.”
수재는 눈이 휘둥그렇게 굿문을 뛰어 나오며 소리를 친다. 손에는 흙 한 줌이 잔뜩 쥐었다.
“뭐?” 하다가, “금줄 잡았어, 금줄.”
“응!”
하고 외마디를 뒤남기자 영식이는 수재 앞으로 살같이 달려들었다. 허겁지겁 그 흙을 받아 들고 샅샅이 헤쳐 보니 딴을 재래에 보지 못하던 불그죽죽한 황토이었다. 그는 눈에 눈물이 핑 돌며,
“이게 원줄인가?”
“그럼 이것이 곱색줄이라네. 한 포에 댓 돈씩은 넉넉 잡히대.”
영식이는 기쁨보다 먼저 기가 탁 막혔다. 웃어야 옳을지 울어야 옳을지. 다만 입을 벌린 채 수재의 얼굴만 멍하니 바라본다.
“이리와 봐. 이게 금이래.”
이윽고 남편은 아내를 부른다. 그리고 내 뭐랬어, 그러게 해 보라고 그랬지, 하고 설면설면 덤벼 오는 아내가 한결 어여뻤다. 그는 엄지손가락으로 아내의 눈물을 지워 주고 그리고 나서 껑충거리면서 구덩이로 들어간다.
“그 흙 속에 금이 있지요?”
영식이 처가 너무 기뻐서 코다리에 고래등 같은 집까지 연상할 제 수재는 시원스러이,
“네, 한 포대에 오십 원씩 나와유.” 하고 대답하고 오늘밤에는 정녕코 꼭 달아나리라 생각하였다.
거짓말이란 오래 못 간다. 봉이 나서 뼈다귀도 못 추리기 전에 훨훨 벗어나는 게 상책이겠다.
- 김유정 ‘금 따는 콩밭
김유정, '금 따는 콩밭'
주제 : 허황된 꿈을 추구하는 인간의 어리석은 욕망
해제
이 소설은 성실하게 살고자 했던 한 인간이 금의 유혹에 빠지는 모습을 통해 1930년대 농촌의 열악한 상황과 일확천금을 기대하는 헛된 욕망을 비판하고 있다. 김유정 소설의 현실 인식과 해학성이 잘 드러난 작품으로, 주인공이 자신의 욕망이 허황된 것이었음을 알지 못하는 데에서 해학성과 비극성이 심화되고 있다.
전체 줄거리
콩밭에 금줄이 묻혀 있을 것이라는 수재의 꼬임에 넘어간 영식이 콩밭을 뒤엎으며 구덩이를 파 보지만 금은 나올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마름과 동네 노인들이 와서 영식의 행동에 화를 내고, 계속 콩밭을 파던 영식은 쌀을 꾸어 와 떡을 해서 정성스럽게 산제를 지낸다. 그러나 그 후에도 금이 나오지 않자 절망한 영식은 아내와 말다툼을 벌이다 발길질을 하고, 마음이 조급해진 수재는 영식에게 거짓으로 금이 나왔다고 말한다. 영식 내외가 기뻐하는 모습을 보며 수재는 그 밤 안으로 달아나리라 결심한다.
<KSP 국어문제연구소>에서
수능 국어와 내신을 대비하기 위해 모의고사 기출, 변형 문제 중에서
(현대 문학 - 소설) 김유정, '금 따는 콩밭'에 대한 부분만을
오려오려 한 세트로 묶어 보았습니다.
요즈음 내신 문제도 다른 작품과 비교하는 수능형 문제가 자주 출제되고 있습니다.
단순하게 교과서에 수록된 부분만을 공부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할 수가 있습니다.
폭넓게 공부하시고, 좋은 성적을 얻기 위해서!!는
다양한 문제 풀이가 필수라는 사실! 잊지 마세요~
<KSP 국어문제연구소>에서는
국어 수능과 내신을 준비하기 위해
(현대소설) 김유정, ‘금 따는 콩밭’에 대한 해설과 대비 문제를 준비하였습니다.
이 자료는 고등학교 내신 대비와 수능을 준비하는
모든 학생들을 위한 정선된 것입니다.
교재에 관련된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해설로 확실하게 이해하시고,
다양한 문제 풀이로 좋은 성적을 만들어 보세요~
<KSP 국어문제연구소>에서는
더 많은 국어 자료를 제공합니다!!!
<국어독학카페(네이버), 중고등국어독학카페(다음)>에는
문학, 독서, 화법, 작문, 문법(언어)에 관한 방대한 자료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국어 공부를 위한 학습 자료실!
<KSP 국어문제연구소>가 최선을 다해 국어 자료를 제공합니다.
<국어독학카페> 즐겨 찾기~~
https://cafe.naver.com/kspstudycafe
☛ 국어독학카페 : 네이버 카페
국어 독학 카페는 국어에 대한 좋은 자료를 제공하여 스스로 공부하도록 도와주는 국어자료실입니다~~
cafe.naver.com
낱개로 문제나 국어 해설을 구입하고 싶으시면~~
국어 해설과 문제를 제공하는 홈페이지로 방문해 보세요~~
<국해문> 즐겨 찾기!
국어해설문제
kukhaemoon.com
2002년부터 운영해 온 <국어독학카페>!!
역사와 전통은 그냥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확실하게 깨닫게 될 것입니다.
#EBS수능특강문학해설 #EBS수능완성문학독서자료 #EBS연계교재변형문제 #국어독학카페 #국어문학기출문제 #화법과작문문제 #언어와매체내신대비자료 #고등국어문제 #중등국어내신대비자료 #문법문제 #화법과작문문제 #문법이론정리 #화법과작문내용정리 #고전소설문제와해설 #현대소설문제와해설 #현대시해설과문제 #수능기출해설과자료 #수능문학자료실 #학력평가자료 #모의고사기출문학해설 #모의고사문학변형문제 #모의고사기출변형문제 #2021학년도수능특강자료 #KSP국어문제연구소 #국어문제연구소 #2021학년도수특문학해설과문제 #2020년모의고사기출문학해설과변형문제판매 #2019년모의고사기출문학해설과변형문제판매 #2022학년도수능특강해설 #2022학년도수능특강변형문제 #2022학년도언어와매체변형문제 # 2022학년도수능특강화법과작문변형문제 #2022학년도수능완성지문해설과변형문제 #2021년9월고1,2,3학년모의고사 #수능평가원모의고사지문해설,변형문제 #EBS독해의원리변형문제 #2022학년도수능문학독서지문해설과변형문제 #2022학년도수능언어와매체, 화법과작문변형문제 #2022학년도기출모의고사변형문제 #EBS올림포스독서변형문제 #EBS독서독해의원리변형문제 #평가원모의고사변형문제 #평가원모의고사지문해설 #2023학년도수능특강문학지문해설과변형문제 #2023수특독서지문해설과변형문제 #2023수능특강화법과작문 #2023학년도수능특강언어와매체변형문제 #2022년3월고1,2,3학년모의고사 #2022년3월모의고사문학지문해설과변형문제 #2022년3월모의고사독서지문해설과변형문제 #2022년3월화법과작문변형문제 #2022년3월모의고사문법변형문제 #2022년3월언어와매체변형문제 #2022년4월고3모의고사 #2022년4월고3모의고사기출문학,독서해설과변형문제 # 2022년6월 모의고사해설과변형문제 #2023학년도 수능완성 해설과변형문제 #2022년7월고3모의고사지문해설과변형문제 #2022년9월평가원 모의고사 #2022년9월고1,고2모의고사
(현대수필) 이상, <권태>-해설, 대비 문제(2015 신사고 문학 기출, 2019학년도 수능특강 기출) (0) | 2022.11.05 |
---|---|
(현대시) 백석, <흰 바람벽이 있어>-모의고사 기출 문제!! (0) | 2022.11.01 |
(현대시) 나희덕, <겨울산에 가면>- 해설, 대비 문제(2020년 11월 고1 기출)! (0) | 2022.10.29 |
(현대시) 김선우, <깨끗한 식사>-지문 해설, 모의고사 기출, 변형 문제! (0) | 2022.10.28 |
(현대시) 정호승, <고래를 위하여>-모의고사 기출, 변형 11문제! (0) | 2022.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