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앞부분의 줄거리] 윤 승상의 아들 지경은 뛰어난 인재로서 과거에 장원급제한다. 지경은 최홍일의 딸 연화와 정혼한 사이인데 혼례를 올리는 날 귀인 박 씨의 딸인 연성 옹주의 남편으로 간택된다. 지경은 이를 거부하나 임금은 지경과 옹주의 혼인을 강행한다. 부마가 되었지만 지경은 옹주를 멀리하고 연화를 만나는데, 지경이 못마땅했던 귀인 박 씨가 이를 알고 임금에게 전한다 이에 임금이 지경을 부르고, 지경은 임금에게 자신의 생각을 솔직하게 밝힌다.
“최 씨는 어려서부터 사랑하옵던 마음이 깊었사오니 어찌 사무치는 마음이 있지 아니하오리까. 옹주를 대접하고 최 씨를 다른 데 출가하라 하신들 언약이 깊고 혼례하였으니, 어찌 다른 데로 신의를 버리고 갈 생각을 하리이까. 하지만 지엄하신 명령이 두려워 홍일이 신을 거절하여 오지 못하게 하오나, 홍일을 속이고 가만히 가서 만난 일이 있사옵니다. 반면 옹주는 신에게 온 지 겨우 일 년에 남편의 뜻을 모르고 투기하여 신을 꾸짖다가 또 전하께 고하니 이도 여자의 덕(德)이라 하시리이까.”
상(上)이 탄식하여 가로되,
“네 나이 어리되 소견이 높아 급암의 직간(直諫)*을 가졌도다. 그러나 옹주는 내 딸이라. 생심도 박대치 말라.”
하고 즉시 복성군을 불러 크게 책망하시고, 김송환을 귀양 푸시고 은빈을 용서하사 서장에 허하시니. 박 시 대로하여 지경을 보고 대질하여 가로되.
“네 어찌 내 딸을 박대하고 내 허물을 지어 내고 복성군을 궁벽한데 몰아넣어 우리 모자를 전제하여 최녀로 동락할 계교를 하느뇨.”
지경이 계단에 꿇어 사죄(謝罪)하니, 상이 귀인을 책하여 물리치시더라. 지경이 사은하고 물러와 옹주의 박대하기 개의치 않고 최 씨에게 가니. 박 씨 울고 상께 가로되,
“성상이 지경의 간사한 말을 경청하사 우답하시니, 더욱 자득하여 옹주를 박대하고 최녀의 집에 가 박혔으니, 옹주를 죽여 그 설워함을 보지 말고자 하나이다.”
상이 웃으시고 윤헌에게 편지하사, 옹주 고단함을 위로하라 하시고, 최홍일에게 전교(傳敎)하사 가로되,
“당초에 네 딸을 다시 혼인시키지 못했으면서도 이제 방자히 지경을 맡고 있음은 분에 넘치니, 이후 다시 이러한즉 사죄(死罪)를 당하리라.”
하시니 공이 황공 사죄(謝罪)하고, 윤 공이 지경을 몹시 꾸짖으며 옹주 궁에 보내어 여러 날을 지키고, 최 공이 ㉠한 의사(意思)를 내어 윤 공더러 이르되.
“최씨 병들어 낫지 않는다.”
하더니, 여러 날이 됨에 위중타 하는지라. 지경이 듣고 즉시 가니 최 공이 크게 노하여 가로되,
“네 또 와 나를 죽이려 하는다. 내 딸이 병들어 죽으나 사나 네 알 바가 아니다.”
하고 밀어 내어 문을 닫으니, 쫓겨 밖에 나와 조카더러 물으니, 고모의 병이 중하여 곡기를 끊고 눈을 뜨지 못한다 하거늘, 그 말을 듣고 크게 슬퍼 가만히 들어가고자 하되 정당(正堂)에 누웠다 하는지라. 볼 길이 없어 돌아와 편지하니, 답장도 없어 주야 번뇌 하더니, 하루는 윤 공이 가로되,
“최 씨 병을 보니 너로 인하여 신세 참담함을 슬퍼하여 병이난즉 아마도 살지 못할까 싶더라. 그런 잔인한 일이 어디 있으랴.”
지경이 묵연히 퇴하니, 이윽고 최 씨 부음이 와 일가가 통곡하고 지경이 실정 통곡하여 엎어져 기절하였더니 이윽고 깨어 일어나 말을 타고 바삐 들어가더라. 최공이 하인을 명하여 문제 들이지 말라 하고 윤 공과 다른 사람들은 들이니, 지경이 뒤를 쫓아 들어가려 한즉, 여러 하인이 등을 밀어내고 문을 닫으며 이르되,
“주인께서 가라사대 내 딸이 구태여 저와 혼인 아니하려 하거늘, 우격으로 혼인을 지내고 내 딸이 저로 인하여 죽었으니 붙이지 말라 하시더이다.” / 지경이 노하여,
“내 미워함이 아니야. 사세(事勢) 그렇게 되었거늘 어찌 그토록 협하게 구는고.”
백 가지로 들어가려 하되 마침내 들지 못하고, 안에서 곡성이 진동하니, 절로 눈물이 비 오듯 하여 하인청에서 지내더라.
이튿날 또 갔으나 한결같이 들이지 아니하니, 하릴없어 헐소청(歇所廳)에서 성복(成服)하고 돌아와 윤 공을 대하여 최가의 일이 괴이함을 고하니, 공이 가로되,
“나와 다른 사람들은 들이되 너를 아니 들이기는 상사에 조관 재상이 많이 모이매 너를 거절함을 보임일러라.”
지경이 가로되,
“그건 너무 과도하나이다. 이미 죽은 후 무슨 시비 있을 것이라 그러하리이까. 최 공의 바란 것이 병일러니, 이 일을 보건대 오히려 작심이로소이다.”
지경이 몹시 서러워하여 병이 나 누웠으나 잠깐 진정하여 낫거늘, 최부에 이르니 이날에야 들이더라. 바삐 빈소에 들어가 관을 붙들고 대성통곡하다가 기운이 막히니 부인과 한림이 겨우 진정케하고 서로 참담함을 인사하고 비통하다가, 차후로 옹주 박대 더욱 심하더라. 옹주와 박 씨는 최 씨 죽은 것을 가장 기꺼워하고, 상은 들으시고 병으로 인해 죽은 것으로 알으사, 최 공을 불러 전일 엄책하심을 뉘우치시니, 최 공이 감은하여 지경 속임을 넌지시 아뢰며, 귀인께도 이같이 청하니 기꺼워 웃으시더라.
(중략)
옹주는 갈수록 싫고 최 씨는 오랠수록 잊을 길 없으니, 이십 세 남자가 이생 홀아비로 어이 견디리오.
[A] | |
자연 신세를 비탄하니, 최 공의 손자 선중이 나이 십 세라. 따라다니다가 이 거동을 보고 물어 가로되,
“숙부는 어찌 이대도록 우시나이까.”
지경이 답하여 가로되, / “네 고모를 생각하고 우노라.”
신중이 가로되,
“고운 부채와 필묵을 주면 고모 있는 곳을 아니 이르리이까.”
지경이 가로되,
“죽은 사람 간 곳을 네 어이 아는가.”
선중이 가로되,
“조부께서 숙부가 매양 본다 하고 죄다 감추었나이다.”
지경이 마음속으로 뜻밖의 일에 몹시 기뻐하여 즉시 종을 보내어 부채와 필묵을 갖다가 주고 달래어 물으니, 선중이 가로되,
“나를 따라오소서.”
뒤를 따라가니, 동산 너머 두 집 지나 큰 집이 있어 대문을 잠갔거늘 동산 협문으로 들어가니 최 씨 바야흐로 종을 시켜 보거늘, 지경이 바로 들어가 부인을 붙들고 가로되,
“이 어인 일고. 당명황(唐明皇)의 봉래산(蓬萊山) 꿈*인가, 초양왕(楚讓王)의 무산(巫山) 구름*인가.”
최 역시 몹시 놀라며 감탄하여 눈물이 샘솟듯 하니, 모든 시비 이 거동을 보고 슬퍼 아니하는 이 없더라
- 작자 미상, 「윤지경전」-
*금압의 직간: 중국 한나라 때의 신하 급장유의 직간, 즉 신하의 기탄없이 바른 말을 간하는 태도.
*당명황의 봉래산 꿈: 당나라 현종이 죽은 양귀비를 보고 싶어 했다는 일.
*초양왕의 무산 구름: 초나라 양왕이 무산의 선녀를 보고 싶어 했다는 일.
[해설]
작자 미상, 「윤지경전」
{해제}
이 작품은 남성 주인공 윤지경이 부당한 권력에 맞서 자신의 사랑을 지키려는 모습을 그린 애정 소설이다. 「윤지경전」은 자신을 강제로 부마로 삼으려는 임금에 맞서 저항하는 윤지경의 모습을 역사적 사실과 허구를 적절히 조화하여 그림으로써, 애정 소설의 소재 영역을 넓히고 사건 전개의 개연성을 높이고 있다. 즉 기묘사화와 작서지변 등 역사적 사건을 적절히 허구화하여 남녀 간의 애정담을 넘어 당대의 정치 현실을 비판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또한 혼사 장애 모티프가 나타나는 고전소설의 경우 여성 주인공이 고난을 겪는 경우가 많은데, 이 작품에서는 남성 주인공 윤지경이 고난을 겪는다는 점이 독특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윤지경이 절대 권력인 임금에게까지 대항하며 애정을 성취하려는 점에서 지배 체제에 대한 저항 의식과 주체적인 자아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주제}
부당한 권력에 맞서 이루어 낸 지극한 사랑
{전체 줄거리}
조선 중종 때 재상 윤현의 아들 지경은 참판 최홍일의 집에 머물다가 최 참판의 딸 연화와 사랑에 빠지고 서로 혼인을 약속한다. 지경이 장원 급제를 한 후 희안군은 지경에게 구혼을 했다가 거절당하였고, 임금에게 지경을 연성 옹주의 부마로 간택하도록 청한다. 지경은 왕의 뜻을 거역할 수 없어 옹주와 혼인을 하지만 옹주를 멀리하고 밤마다 몰래 담을 넘어 나가 연화를 만난다. 지경과 연화를 갈라놓기 위해 최 참판은 연화가 죽었다며 거짓 장례까지 치른다. 하지만 우여곡절 끝에 둘은 다시 만나게 되고 임금은 옹주를 박대한 죄를 물어 지경과 연화를 각각 다른 곳으로 유배를 보낸다. 기묘사화가 일어나자 임금은 지경을 다시 불러들이고, 지경은 옹주, 연화와 함께 화목한 가정을 이룬다.
<KSP 국어문제연구소>에서
수능 국어와 내신을 대비하기 위해 모의고사 기출 문제 중에서
(고전 문학 - 소설) 작자 미상, '윤지경전'에 대한 부분만을
오려오려 한 세트로 묶어 보았습니다.
요즈음 내신 문제도 다른 작품과 비교하는 수능형 문제가 자주 출제되고 있습니다.
단순하게 교과서에 수록된 부분만을 공부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할 수가 있습니다.
폭넓게 공부하시고, 좋은 성적을 얻기 위해서!!는
다양한 문제 풀이가 필수라는 사실! 잊지 마세요~
<KSP 국어문제연구소>에서는
국어 수능과 내신을 준비하기 위해
2019학년도, 2023학년도 수능완성 문학 수록 작품이고,
2015년 10월 고3 기출 작품에 해당하는
(고전소설) ‘윤지경전’에 대한 해설과 대비 문제를 준비하였습니다.
이 자료는 고등학교 내신 대비와 수능을 준비하는
모든 학생들을 위한 정선된 것입니다.
교재에 관련된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해설로 확실하게 이해하시고,
다양한 문제 풀이로 좋은 성적을 만들어 보세요~
<KSP 국어문제연구소>에서는
더 많은 국어 자료를 제공합니다!!!
<국어독학카페(네이버), 중고등국어독학카페(다음)>에는
문학, 독서, 화법, 작문, 문법(언어)에 관한 방대한 자료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국어 공부를 위한 학습 자료실!
<KSP 국어문제연구소>가 최선을 다해 국어 자료를 제공합니다.
<국어독학카페> 즐겨 찾기~~
낱개로 문제나 국어 해설을 구입하고 싶으시면~~
국어 해설과 문제를 제공하는 홈페이지로 방문해 보세요~~
<국해문> 즐겨 찾기!
2002년부터 운영해 온 <국어독학카페>!!
역사와 전통은 그냥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확실하게 깨닫게 될 것입니다.
#EBS수능특강문학해설 #EBS수능완성문학독서자료 #EBS연계교재변형문제 #국어독학카페 #국어문학기출문제 #화법과작문문제 #언어와매체내신대비자료 #고등국어문제 #중등국어내신대비자료 #문법문제 #화법과작문문제 #문법이론정리 #화법과작문내용정리 #고전소설문제와해설 #현대소설문제와해설 #현대시해설과문제 #수능기출해설과자료 #수능문학자료실 #학력평가자료 #모의고사기출문학해설 #모의고사문학변형문제 #모의고사기출변형문제 #2021학년도수능특강자료 #KSP국어문제연구소 #국어문제연구소 #2021학년도수특문학해설과문제 #2020년모의고사기출문학해설과변형문제판매 #2019년모의고사기출문학해설과변형문제판매 #2022학년도수능특강해설 #2022학년도수능특강변형문제 #2022학년도언어와매체변형문제 # 2022학년도수능특강화법과작문변형문제 #2022학년도수능완성지문해설과변형문제 #2021년9월고1,2,3학년모의고사 #수능평가원모의고사지문해설,변형문제 #EBS독해의원리변형문제 #2022학년도수능문학독서지문해설과변형문제 #2022학년도수능언어와매체, 화법과작문변형문제 #2022학년도기출모의고사변형문제 #EBS올림포스독서변형문제 #EBS독서독해의원리변형문제 #평가원모의고사변형문제 #평가원모의고사지문해설 #2023학년도수능특강문학지문해설과변형문제 #2023수특독서지문해설과변형문제 #2023수능특강화법과작문 #2023학년도수능특강언어와매체변형문제 #2022년3월고1,2,3학년모의고사 #2022년3월모의고사문학지문해설과변형문제 #2022년3월모의고사독서지문해설과변형문제 #2022년3월화법과작문변형문제 #2022년3월모의고사문법변형문제 #2022년3월언어와매체변형문제 #2022년4월고3모의고사 #2022년4월고3모의고사기출문학,독서해설과변형문제 # 2022년6월 모의고사해설과변형문제 #2023학년도 수능완성 해설과변형문제 #2022년7월고3모의고사지문해설과변형문제 #2022년9월평가원 모의고사 #2022년9월고1,고2모의고사 #2022년10월고3모의고사 #2023학년도수능기출 #2022년11월고1모의고사 #2022년11월고2모의고사
(현대시) 김종삼, <묵화>-내신 기출 문제!! (0) | 2022.12.19 |
---|---|
(고시조) 이별, <장육당육가>-지문 해설, 대비 문제!! (0) | 2022.12.17 |
(현대시) 이승하, <이 사진 앞에서>-지문 해설, 대비 문제!! (0) | 2022.12.16 |
(한문 수필) 박지원, <백자증정부인박씨묘지명>-대비 문제!! (0) | 2022.12.14 |
(현대소설) 전광용, <꺼삐딴 리>-내신 기출 문제~ (0) | 2022.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