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쿠팡 따라가는 유니콘들 “우리도 미국 갈래요”

공지사항

by 배추왕 2021. 5. 3. 07:13

본문

728x90

미국 증시 문 두드리는 한국 기업
22년 전 두루넷 ‘KOREA’가 최초
쿠팡 주가는 상장 이후 제자리걸음

“미국 증시 기업공개(IPO) 가능성을 보고 있습니다.”

박상진 네이버 최고재무책임자(CFO)가 4월21일 블룸버그통신과 인터뷰에서 네이버웹툰의 미국 상장 가능성을 내비쳤다. 네이버웹툰은 2020년 12월 본사를 한국에서 미국 로스앤젤레스로 옮겼다. 세계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기 위해서다. 박 CFO는 “달러화 채권의 추가 발행을 고려하고 있다”라며 “회사가 성장하려면 세계로 나가는 것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네이버웹툰은 7200만명이 이용하는 세계 1위 웹툰 플랫폼이다. 네이버는 2021년 1월 캐나다의 세계 최대 웹소설 플랫폼 ‘왓패드’를 인수하고 네이버웹툰과 시너지 효과를 낼 방법을 고민 중이다. 업계에선 “네이버의 중장기 전략을 고려하면 네이버웹툰의 미국 상장은 필연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 기업 최초로 나스닥에 상장한 두루넷은 4년을 채우지 못하고 상장폐지당했다. /KBS 방송화면 캡처

◇1999년 두루넷이 최초···비용 부담에 자진 상폐하기도

기업공개를 앞두고 한국 대신 미국행을 택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 포문을 연 곳은 전자상거래 서비스 기업 쿠팡이다. 쿠팡은 3월 11일(현지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했다. 시가총액은 4월 27일 기준 약 87조원. 우리나라 기업 중에선 삼성전자(490조원)와 SK하이닉스(95조원)에 이어 3번째다. 상장 첫날 시총이 한때 130조원까지 오르기도 했다. 미국 상장으로 약 5조원을 확보한 쿠팡은 국내에 물류센터를 추가로 짓고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까지 준비 중이다. 올해 3월부터 싱가포르 법인에서 근무할 직원을 뽑고 있다.

신선식품 새벽배송으로 몸집을 키운 마켓컬리 운영사 컬리도 2021년 기업공개에 나선다. 컬리는 지난 3월 상장 주관사단으로 골드만삭스·모건스탠리·JP모건을 선정했다. 2017년 삼성증권과 계약을 맺었지만, 해지한 뒤 외국계 투자은행으로 주관사단을 새로 꾸렸다. 컬리는 기업공개를 위한 사전 작업으로 3000억원 규모 프리IPO(Pre-IPO·상장 전 지분투자)를 추진 중이다. 프리IPO란 투자자에게 수년 안에 상장한다고 약속하면서 일정 지분을 팔아 자금을 유치하는 것을 말한다. 김슬아 컬리 대표는 “연내 미국 증시 상장을 위해 금융인들과 계획을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여가 플랫폼 기업 야놀자 등 유니콘 기업(기업 가치가 10억달러가 넘는 스타트업)으로 평가받는 곳들이 미국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김슬아 컬리 대표. /디글 유튜브 캡처

쿠팡 이후 한국 기업들의 미국 진출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지만, 쿠팡이 처음은 아니다. 초고속인터넷을 서비스하던 두루넷이 1999년 11월 한국 기업 최초로 나스닥에 상장했다. 티커(ticker)는 KOREA였다. 하지만 IT버블이 꺼지면서 자금 조달이 어려워졌고, 실적까지 떨어지면서 상장유지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했다. 결국 2003년 4년을 채우지 못하고 나스닥에서 퇴출당했다. 두루넷 이후 미래산업·이머신즈·하나로텔레콤·웹젠 등이 2000년대 초반 나스닥에 상장했다. 하지만 짧게는 1년, 길어도 10년을 넘지 못하고 상장폐지를 당했다. 적은 거래량과 연 수십억원에 달하는 상장 비용 부담 때문이었다. 2000년 3월 상장 후 2001년 4월 퇴출당한 이머신즈는 주가가 1달러 미만으로 떨어져 상장폐지됐다.

◇흥행몰이, 자금조달 쉽지만 비용 부담은 과제

한국 기업들이 미국 증시로 떠나는 이유는 여러가지다. 먼저 뉴욕거래소나 나스닥에 상장했다는 것만으로 전 세계 투자자들 사이에서 관심을 모을 수 있다. 또 한국거래소보다 상장 요건이 덜 엄격하다는 이유도 있다. 그동안 적자를 내는 국내 기업은 성장 잠재력이 있어도 상장할 기회가 없었다. 2017년부터 상장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도 잠재력이 있는 기업에 상장 기회를 주는 ‘테슬라 요건’을 시행 중이지만, 4년간 7개 기업만 이 제도를 통해 코스닥에 상장했다. 그마저도 바이오 기업이 대부분이다. 쿠팡이나 컬리 등 이커머스 기업의 미국행은 까다로운 상장 심사를 피하기 위해 대안을 택한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상장 이후 쿠팡의 주가 움직임. /야후파이낸스 캡처

미 증시 진출에 대한 위험부담이 없는 건 아니다. 국내 증시에 상장할 때보다 비용 부담이 10배가량 크다. 쿠팡은 상장 주관 비용으로 2000억원을 썼다고 한다. 상장한 뒤에도 유지비용이 매년 나간다. 무턱대고 미국행을 택했다가 흥행몰이에 실패하면 회사에 악재로 돌아올 수 있는 셈이다. 업계에선 “기업가치가 5조원을 넘지 않으면 미국 상장을 추진하지 않는 편이 낫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야놀자의 현재 기업 가치가 5조원 수준이다. 김용구 삼성증권 수석연구위원은 연합뉴스TV에 “상장 자체로 끝나는 게 아니라 시장 기대에 부합하는 그 이상의 성장성을 보여줄 수 있는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글 jobsN 송영조
jobarajob@naver.com
잡스엔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