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15년 국민이전계정 개발 결과 보고서' 발표
2015년 국내 거주자 1인당 노동소득 43세 때 연2896만원…전 연령중 최고
평균 노동소득이 가장 많은 나이는 40대 초반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1월22일 공개한 '2015년 국민이전계정 개발 결과' 보고서를 보면 국내 거주자의 1인당 노동소득은 2015년 기준으로 43세 때 연 2896만원으로 전 연령대 중에 가장 많았다. 노동소득은 임금 근로자의 임금소득, 자영자와 무급 가족 종사자의 노동 가치(노동으로 발생하는 소득)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1인당 노동소득은 생산 가능 연령에 진입하는 15세부터 상승해 43세에 정점에 달하고 이후 감소하는 흐름을 보였다. 다만 1인당 노동소득은 노동소득이 없는 거주자까지 포함해 평균을 구한 것이어서 직업이 있는 이들이 실제로 벌어들이는 노동소득 금액과는 차이가 크다.
1인당 임금소득은 40세에 2759만원으로 모든 연령대 중에서 가장 많았다. 자영자의 1인당 노동소득이 가장 많은 연령대는 51세로 연 205만원이었다. 자영자는 임금 근로자가 아닌 상태에서 노동소득을 벌어들이는 경제활동 주체를 의미하며 자영업자 등을 포괄한다. 자영자 1인당 노동소득은 자영자의 노동소득 총액을 전체 거주자 수로 나눠서 구하기 때문에 자영자가 벌어들이는 평균적인 노동소득과는 다르다.
2015년 국내 거주자 전체 노동소득은 약 752조8000억원으로 전년보다 약 5.4% 늘었다. 2011년에는 전체노동소득이 약 621조1000억원이었으며 2015년까지 4년 사이에 약 21.2% 증가했다. 특히 65세 이상 노년층의 노동소득은 전체 노동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낮았지만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였다. 2015년 65세 이상의 노동소득은 약 19조6000억원으로 전년보다 12.4% 늘었다.
2015년 전체 자영자의 노동소득은 전년보다 0.1% 증가한 42조5000억원이었다. 15∼64세가 벌어들인 노동소득은 전년보다 0.5% 줄어든 39조6000억원이었고 65세 이상 노동소득은 9.3% 늘어난 2조9000억원이었다.
글 jobsN 김지민
jobarajob@naver.com
잡스엔
을지면옥·양미옥 등 을지로 생활유산 살아남는다 (0) | 2019.01.24 |
---|---|
2명 뽑는데 1536명 몰린 이 중소기업의 '충격적 복지혜택' (0) | 2019.01.23 |
학교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기술개발사업 추진 (0) | 2019.01.22 |
태극기 활용해 패션쇼 선보인 루이비통 디자이너 (0) | 2019.01.21 |
연간 100억 매출 국내 1위 딸기잼…다이어트 들어간 까닭 (0) | 2019.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