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OECD 교육지표 2018」 결과 발표

사회, 문화 정보

by 배추왕 2018. 9. 12. 11:35

본문

728x90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김상곤)와 한국교육개발원(원장 반상진)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201891111:00(프랑스 기준)에 공개하는 OECD 교육지표 2018의 주요 지표를 분석발표했습니다.
 
  「OECD 교육지표는 회원국들이 교육 기회를 확대하고 교육의 사회적 성과를 제고하는데 필요한 국제 비교자료를 제공하고 있어, 교육정책 수립 및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OECD 교육지표 개요

(조사 근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관한 협약(1996.12.18., 조약 제1358)
(조사 대상) 46개국(OECD 회원국 35개국, 비회원국 11개국)
(조사 내용) , 교원, 재정, 교육 참여 및 성과 등 교육 전반에 관한 사항
(조사 기준연도) 학생·교원(2016~2017), 재정(2015), 교육 참여·성과(2016~2017)
(참여 기관) 한국교육개발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통계청 등 
- (결과 공개) OECD 홈페이지(http://oecd.org), 12월 중 OECD 교육지표 2018번역본 발간
1) 일부 자료는 반올림한 값으로 부분의 합이 전체와 다를 수 있음
2) $로 표시된 수치는 미국 달러에 대한 구매력 평가 지수(PPP) 기준


  「OECD 교육지표 2018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학습 환경 및 학교 조직


교사 1인당 학생 수 : 16.5, 14.7, 13.8
학급당 학생 수 : 23.2, 28.4


  2016년 우리나라의 교사 1인당 학생 수는 초등학교 16.5, 중학교 14.7, 고등학교 13.8명으로 전년(16.8, 15.7, 14.1)보다 모든 교육단계에서 감소했으나, OECD 평균(: 15.0, : 12.7, : 12.9)보다 높았습니다.
2006년 대비 초등학교 10.2, 중학교 6.1, 고등학교 2.1명 감소
 
  2016년 우리나라의 학급당 학생 수는 초등학교 23.2, 중학교 28.4명으로 전년(23.4, 30.0)보다 모든 교육단계에서 감소(0.2, 1.5)했으나, OECD 평균(: 21.3, : 22.9)보다 높았습니다.
2006년 대비 초등학교 8.4, 중학교 7.4명 감소


<교사 1인당 학생 수 및 학급당 학생 수(2016년 기준)> (단위 : 명)


교사 : 기간제 교사를 포함한 수업교사(주 업무가 수업이 아닌 교사 제외, 휴직교사 포함) 


<교사 1인당 학생 수 추이(좌), 학급당 학생 수 추이(우)>


  2017년 우리나라 국·공립학교 초임 교사의 법정 급여는 초등학교 $30,395, 중학교 $30,455, 고등학교 $29,738OECD 평균(: $32,258, : $33,498, : $34,943)보다 적었으나, 15년차 교사의 법정 급여는 초등학교 $53,405, 중학교 $53,465, 고등학교 $52,747OECD 평균(: $45,004, : $46,780, : $48,697)보다 많았습니다.
 
  2017년 우리나라 초중등 교사의 연간 수업 주수는 38주로 OECD 평균(: 38, : 38, (일반계) : 37, (직업계) : 38)과 비슷하고, 법정 수업 일수는 190일로 OECD 평균(: 183, : 181, (일반계) : 180, (직업계) : 182)보다 다소 많았습니다.


2. 교육에 투자된 재정


GDP 대비 공교육비 : 정부재원 4.4%(0.1%p), 민간재원 1.4%(0.4%p)
학생 1인당 공교육비 지출액 : 초등 $11,047, 중등 $12,202, 고등 $10,109


국내총생산(GDP) 대비 공교육비


  2015년 우리나라의 초등~고등교육단계의 GDP 대비 공교육비*5.8%OECD 평균(5.0%)보다 높았고, 고등교육은 1.8%(0.4%p)OECD 평균(1.5%)보다 0.3%p 높았습니다.
    * GDP 대비 공교육비 = (정부재원+민간재원+해외재원 공교육비) / GDP


<GDP 대비 공교육비(’15 회계연도 기준)> (단위 : %)


한국의 연도별 GDP : (2014) 1,486.1조원 (2015) 1,564.1조원
  2015년 우리나라의 GDP 대비 공교육비 중 정부재원은 4.4%, 민간재원은 1.4%OECD 평균(4.3%, 0.7%)보다 모두 높았습니다. 고등교육단계 정부재원 비율은 0.9%OECD 평균(1.1%)보다 낮았고, 민간재원 비율은 0.9%OECD 평균(0.4%)보다 높았습니다.


<GDP 대비 공교육비 현황(2015년)(좌), 정부/민간투자의 상대적 비율(2015년)(우)>


학생 1인당 공교육비 지출액


  2015년 우리나라의 학생 1인당 공교육비 지출액*은 초등 및 중등교육단계에서 증가하여 $11,143으로 전년($11,129)보다 $14 증가했으며, OECD 평균($10,520)보다 높았습니다.
* 학생 1인당 공교육비 지출액 = {(교육기관 직접 투자비) / 학생수} / PPP

  초등교육은 $11,047, 중등교육은 $12,202으로 OECD 평균(초등 : $8,631, 중등 : $10,010) 보다 높았으나, 고등교육의 경우 $10,109OECD 평균($15,656) 보다 낮았습니다. 


공교육비 정부/민간투자의 상대적 비율


  2015년 우리나라의 공교육비 중 정부투자의 상대적 비율은 초등학교~고등학교 87.1%, 고등교육 36.1%로서, 전년보다 상승하여 지속적으로 높아지는 추세이나 모두 OECD 평균*보다 낮았습니다.
* OECD 평균 : 초등학교~고등학교 90.4%, 고등교육 66.0%


3. 교육에의 접근․참여 및 교육기관의 산출․성과


3~4세 취학률 OECD 평균을 큰 격차로 앞서
청년층(25~34) 고등교육 이수율 OECD 국가 중 1위 유지(2008~)


  2016년 우리나라의 연령별 취학률*15~1987%, 20~2450%OECD 평균(15~19: 85%, 20~24: 42%)보다 높으나, 5~1497%, 25~29세는 9%OECD 평균(5~14: 98%, 25~29: 16%)보다 낮았습니다. 5세 이하의 취학률은, 397%, 493%, 590%입니다.
* 연령별 취학률 = 연령별 학생 수 / 연령별 인구 수
OECD 평균 : 376%, 488%, 595%


<연령별 취학률 현황(2016년)(좌), 고등교육 이수율 현황(2017년)(우)>


  2017년 우리나라 성인(2564)의 고등교육 이수율*48%(1%p)로서 OECD 평균(38%)보다 높았고, 특히 청년층(25~34)70%(전년 수준)로서 ’08년 이후 OECD 최고 수준을 유지 중입니다.
* 고등교육 이수율 = 고등교육단계의 학력 소지자 수 / 연령별 인구 수

  2016년 우리나라 성인(2564)의 교육단계별 상대적 임금(고졸자=100 기준)은 전문대 졸업자 116(1), 대학 졸업자 149(4), 대학원 졸업자 198(9)입니다.
OECD 평균 : 전문대 졸업자 123, 대학 졸업자 144, 대학원 졸업자 191

  2017년 우리나라 성인(2564)의 고용률*74%로 전년과 비슷했으나, OECD 평균(76%)보다 다소 낮았고, 교육단계별로는 고등학교 졸업자 73%, 전문대학 졸업자 77%, 대학 이상 졸업자 78%였습니다.
* 고용률 = 취업자 수 / 생산가능인구 수
OECD 평균 : 고졸 75%, 전문대졸 81%, 대학졸 84%, 석사졸 88%, 박사졸 92%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 2012, 2015에 따르면, 부모의 학력 수준이 모두 고등학교 졸업 미만인 경우, 고등교육(전문대학 이상)을 이수한 25~64세 자녀의 비율은 27%OECD 평균(21%)보다 높았습니다.
* Programme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
부모의 학력이 자녀의 학력에 영향력을 미친다는 전제 하에 우리나라가 다른 국가보다 교육을 통한 학력의 세대 간 이동성이 비교적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번 조사 결과는 OECD 홈페이지(www.oecd.org)에 탑재될 예정이며, 교육부는 2018OECD 교육지표번역본을 올해 12월중 발간해 교육통계서비스 홈페이지(http://kess.kedi.re.kr)에 공개할 계획입니다.

[출처] 교육부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