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자 현황

사회, 문화 정보

by 배추왕 2018. 12. 5. 08:26

본문

728x90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자 현황을 알려드립니다.





1. 전체 응시자



  작년 수능 대비 1,107명 감소하였고, 올해 9모 대비 16,324명 증가했습니다.


2. 영역별 응시자 현황


※ ‘비율(%)’은 전체 응시자에 대한 각 영역 응시자의 비율을 의미함.


  작년 수능 대비 수학 나형 응시자 비율은 증가한 반면, 국어, 수학 가형, 사회탐구, 과학탐구, 2외국어/한문 응시자 비율은 감소하였고, 영어, 직업탐구 응시자 비율은 동일합니다올해 9월 모의평가 대비 국어, 수학 가형, 2외국어/한문 응시자 비율은 증가한 반면, 수학 나형, 영어, 사회탐구, 과학탐구, 직업탐구 응시자 비율은 감소하였습니다.


3. 탐구 및 제2외국어/한문 영역 과목별 응시자 현황


. 사회탐구 영역


※ ‘비율(%)’은 사회탐구 영역 응시자에 대한 각 과목 응시자의 비율을 의미함. 사회탐구 영역의 경우 최대 2개 과목까지 선택 가능하므로 사회탐구 영역 응시자 비율의 합을 표시하지 않음.


  생활과 윤리 응시자 비율이 높고, 경제 응시자 비율은 낮았습니다작년 수능 대비 생활과 윤리 응시자 비율이 가장 많이 증가한 반면, 한국 지리 응시자 비율이 가장 많이 감소했습니다올해 9월 모의평가 대비 사회·문화 응시자 비율이 가장 많이 증가한 반면, 경제 응시자 비율이 가장 많이 감소했습니다.


. 과학탐구 영역


※ ‘비율(%)’은 과학탐구 영역 응시자에 대한 각 과목 응시자의 비율을 의미함. 과학탐구 영역의 경우 최대 2개 과목까지 선택 가능하므로 과학탐구 영역 응시자 비율의 합을 표시하지 않음.


  지구 과학응시자 비율이 높고, 물리응시자 비율은 낮았습니다. 작년 수능 대비 지구 과학응시자 비율이 가장 많이 증가한 반면, 화학응시자 비율이 가장 많이 감소했습니다올해 9월 모의평가 대비 지구 과학응시자 비율이 가장 많이 증가한 반면, 물리응시자 비율이 가장 많이 감소했습니다.


. 직업탐구 영역


※ ‘비율(%)’은 직업탐구 영역 응시자에 대한 각 과목 응시자의 비율을 의미함. 직업탐구 영역의 경우 최대 2개 과목까지 선택 가능하므로 직업탐구 영역 응시자 비율의 합을 표시하지 않음.


  상업 경제 응시자 비율이 높고, 해양의 이해, 수산·해운 산업 기초 응시자 비율은 낮았습니다작년 수능 대비 생활 서비스 산업의 이해 응시자 비율이 가장 많이 증가한 반면, 상업 경제 응시자 비율이 가장 많이 감소했습니다올해 9월 모의평가 대비 공업 일반 응시자 비율이 가장 많이 증가한 반면, 회계 원리 응시자 비율이 가장 많이 감소했습니다.


. 2외국어/한문 영역


※ ‘비율(%)’은 제2외국어/한문 영역 응시자에 대한 각 과목 응시자의 비율을 의미함.


  아랍어응시자 비율이 높고, 러시아어응시자 비율은 낮았습니다작년 수능 대비 일본어응시자 비율이 가장 많이 증가한 반면, 아랍어응시자 비율이 가장 많이 감소했습니다올해 9월 모의평가 대비 아랍어응시자 비율이 가장 많이 증가한 반면, 중국어응시자 비율이 가장 많이 감소했습니다.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