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주제 통합 2) '시간 구분 방법과 조선의 시간 통제'-지문 해설, 대비 29문제(2024 수능특강 적용 학습 기출 및 변형)

독서, 화법, 작문, 언어(문법), 매체

by 배추왕 2023. 4. 25. 07:27

본문

728x90

 

 

[01~0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시간을 분할 할 때 ‘1’, ‘1개월처럼 장기간으로 분할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일상생활에 가장 긴요한 것은 하루를 그보다 작은 시간 단위로 분할하는 것이다. 하루는 지구의 자전 운동으로 인해 생겨나는 시간 단위인데, 일상생활을 위해서는 고대부터 이 시간 단위를 좀 더 세분해서 사람들에게 알릴 필요가 있었다.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시간을 구분하는 방법으로는 하루를 균등 분할하는 정시법과 낮과 밤의 길이 변화에 따라 하루를 분할하는 부정시법이 있었다. 그리고 성문 위나 성내의 중앙, 궁궐의 안팎에 종루나 고루를 지어 종이나 북을 설치하고 때에 맞추어 종과 북을 쳐서 시간을 알렸다.

 

정시법의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백각법(百刻法)이 있다. 백각법은 하루를 100개의 각으로 균등 분할하는 시간 구분 방법으로, 신라 때부터 조선 후기 시헌력이 도입되기 이전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또 다른시간 구분 방법으로 하루를 12시로 균등 분할하는 12지시법(十二支時法)24시로 균등 분할하는 24반지시법(二十四半支時法)이 있다. 12지시법은 한밤중을 자시(子時)로 하여 각각 십이지(十二支)를 이름으로 붙여서 사용하였다. 관측지를 기준으로 하는 지방시(地方時)*의 자시는 요즘의 시간 구분 방법으로는 23시부터 1시까지, 축시(丑時)1시부터 3시까지에 대응된다. 24반지시법은 각 시를 더욱 세분하여 초()와 정()으로 나누었다. 예를 들어 23시부터 0시까지는 자초가 되고, 0시부터 1시까지는 자정으로 한다. 오늘날에도 사용하는 자정이란 용어는 이러한 고대의 시각 제도에서 유래한 것이다. 다만 과거의 시간은 당시의 관측지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지금의 한국에서 사용하는 표준시*와 일치하지 않는다.

 

부정시법인 경점법(更點法)은 해가 져 완전히 어두워지고 난 뒤부터 해가 아직 뜨지 않았지만 하늘이 점점 훤해지기 시작할 때까지의 밤을 다섯 등분하여 오경으로 나누고, 경을 다시 다섯 등분하여 오점으로 나누었다. 오경은 각각을 초경, 이경, 삼경, 사경, 오경으로 명명하였다. 계절에 따라 밤의 길이는 변하므로, 1경이라는 시간 간격도 변하게 된다. 경점법에서는 물시계를 사용하여 시간을 측정하였다. 물시계에서 시간의 길이는 바로 물의 양에 대응하는데, 이 물의 양을 눈금을 새긴 자로 측정했다. 후한서율력지(律曆志)에서는 1년간 총 48개의 대나무 측정자를 사용했다고 한다. 24절기 각각에 2개의 측정자를 배당한 것이다. 계절에 따라서 밤과 낮의 시간을 다르게 분절하였기 때문에 물시계에 절기별로 눈금의 간격이 다른 자를 사용하였다. 천문 관측과 계산의 기술이 발전하면서 후대로 갈수록 절기별로 밤과 낮 시간의 구분이 정밀해졌다.

 

*지방시: 어떤 지방에서 그 지점을 통과하는 자오선을 기준으로 삼아 정한 시간.

*표준시: 각 나라나 각 지방에서 쓰는 표준 시각. 우리나라는 동경 135도를 기준 자오선으로 한 평균 태양시를 씀.

 

 

() 조선 시대에 백성의 생활을 통제하는 것은 왕권과 통치 질서를 보여 주는 일이었다. 이를 위해 조선은 초기부터 정밀한 시간 측정에 근거하여 백성의 시간을 통제하고자 하였다.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는 한양으로 도읍을 옮기고 시내 한복판에 종루를 짓고 큰 종을 걸어 시각에 따라 종을 치게 하였다. 이 종을 신혼대종(晨昏大鐘)이라 하여 백성의 생활을 규제하는 수단으로 사용하였다. 이 종을 운영할 수 있는 시계로 물시계인 경루(更漏)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그리고 백성의 시간을 통제하기 위해 인정(人定)과 파루(罷漏)를 두었다.

   
[A]
   

 

 

인정과 파루는 조선 시대 도성 문이 각각 닫고 열리는 시각을 알리는 것으로, 태종 때인 1401년부터 시행되었다. 경점법을 적용하여 초경 3점에 종을 28번 쳐서 성문을 닫아 사람의 출입을 통제했고, 53점에 종을 33번 쳐서 성문을 열도록 하였다. 인정과 파루 사이에는 매 경과 점마다 북과 징으로 시각을 알렸다.

 

 

인정과 파루는 순찰하며 치안 질서를 유지하는 제도인 순작법(巡綽法)의 운영을 위해 필요했다. 순작법에 따르면 야간에 통행금지 시간을 규정하여 해당 시간에 통행하는 자는 모두 가두어 다스리게 하였다. 인정과 파루에 종을 치는 것은 통행금지와 해제를 알리는 일종의 예비 종이었다. 밤 시간의 통제와시각을 알리는 시보가 여러 번 이루어진 데 비하면, 낮 시간의 시보는 그렇지 못하였다. 유일하게 정오에오고(午鼓)’라 하여 북을 쳐서 정오 시각을 알렸다.

 

 

[해설]

시간 구분 방법과 조선의 시간 통제

()

{해제}

이 글은 고대 동아시아 문화권의 시간 구분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고대의 시간 구분 방법에는 하루를 균등 분할하는 정시법인 백각법과 12지시법, 24반지시법, 낮과 밤의 길이 변화에 따라 하루를 분할하는 부정시법인 경점법이 있었다. 백각법은 하루를 100개의 각으로 균등 분할한다. 12지시법은 하루를 12시로, 24반지시법은 하루를 24시로 균등 분할한다. 경점법은 해가 져 완전히 어두워지고 난 뒤부터 해가 아직 뜨지 않았지만 하늘이 점점 훤해지기 시작할 때까지의 밤을 다섯 등분하여 오경으로 나누고, 경을 다시 다섯 등분하여 오점으로 나누는 시간 구분 방법이다. 경점법을 뒷받침하기 위해 물시계가 사용되었다. 천문 관측과 계산의 기술이 발전하면서 밤과 낮의 시간 구분이 정밀해졌다.

 

 

{주제}

고대 동아시아 문화권의 시간 구분 방법

{구성}

1문단: 시간 구분 방법의 필요성과 고대 동아시아 문화권의 시간 구분 방법

2문단: 정시법의 시간 구분 방법

3문단: 경점법의 시간 구분 방법과 이를 뒷받침하는 물시계

 

SMALL

 

()

{해제}

이 글은 조선 시대에 도성 문을 여닫는 시각을 알리는 인정과 파루, 시간을 측정하는 물시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인정에는 종을 28번 쳐서 성문을 닫고 파루에는 종을 33번 쳐서 성문을 열었다. 인정과 파루 사이의 야간에는 통행이 금지되었으며 이를 어기는 자는 처벌받았다. 조선 세종 때에 기존의 물

시계를 개량하여 만든 자격루는 시간의 경과를 자동으로 알려주었고 이를 대종고를 통해 전달하여 인정과 파루에 종을 쳤다. 조선 시대에 백성의 시간을 통제하는 것은 왕권과 통치 질서를 보여 주는 일이었다.

 

 

{주제}

조선의 시간 통제

{구성}

1문단: 조선 시대 백성의 시간 통제 목적과 방법

2문단: 인정과 파루의 운영 방법

3문단: 인정과 파루의 운영 목적

4문단: 인정과 파루의 시각을 알려 주는 자격루

 

 

 

(주제 통합 2) '시간 구분 방법과 조선의 시간 통제'-지문 해설, 대비 14문제(2024 수능특강 적용 학습 기출 및 변형)

 

 

<KSP 국어문제연구소>에서

수능 국어와 내신을 대비하기 위해

2024학년도 수능특강 독서 기출 문제 중에서

(주제 통합 2) '시간 구분 방법과 조선의 시간 통제'에 대한 부분만을

오려오려 한 세트로 묶어 보았습니다.

 

 

요즈음 내신 문제도 다른 작품과 비교하는 수능형 문제가 자주 출제되고 있습니다.

단순하게 교과서에 수록된 부분만을 공부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할 수가 있습니다.

폭넓게 공부하시고, 좋은 성적을 얻기 위해서!!

다양한 문제 풀이가 필수라는 사실! 잊지 마세요~

 

<KSP 국어문제연구소>에서는

국어 수능과 내신을 준비하기 위해

2024학년도 수능특강 독서 수록 작품인

(주제 통합 2) '시간 구분 방법과 조선의 시간 통제'에 대한 해설과 대비 문제를 준비하였습니다.

 

이 자료는 고등학교 내신 대비와 수능을 준비하는

모든 학생들을 위한 정선된 것입니다.

교재에 관련된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해설로 확실하게 이해하시고,

다양한 문제 풀이로 좋은 성적을 만들어 보세요~

<KSP 국어문제연구소>에서는

더 많은 국어 자료를 제공합니다!!!

 

 

<국어독학카페(네이버), 중고등국어독학카페(다음)>에는

문학, 독서, 화법, 작문, 문법(언어)에 관한 방대한 자료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국어 공부를 위한 학습 자료실!

<KSP 국어문제연구소>가 최선을 다해 국어 자료를 제공합니다.

 

<국어독학카페> 즐겨 찾기~~

☛ 국어독학카페 : 네이버 카페 (naver.com)

 

☛ 국어독학카페 : 네이버 카페

국어 독학 카페는 국어에 대한 좋은 자료를 제공하여 스스로 공부하도록 도와주는 국어자료실입니다~~

cafe.naver.com

 

낱개로 문제나 국어 해설을 구입하고 싶으시면~~

국어 해설과 문제를 제공하는 홈페이지로 방문해 보세요~~

 

<국해문> 즐겨 찾기!

www.kukhaemoon.com  

 

국어해설문제

 

kukhaemoon.com

 

2002년부터 운영해 온 <국어독학카페>!!

역사와 전통은 그냥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확실하게 깨닫게 될 것입니다.

 

#EBS수능특강문학해설 #EBS수능완성문학독서자료 #EBS연계교재변형문제 #국어독학카페 #국어문학기출문제 #화법과작문문제 #언어와매체내신대비자료 #고등국어문제 #중등국어내신대비자료 #문법문제 #화법과작문문제 #문법이론정리 #화법과작문내용정리 #고전소설문제와해설 #현대소설문제와해설 #현대시해설과문제 #수능기출해설과자료 #수능문학자료실 #학력평가자료 #모의고사기출문학해설 #모의고사문학변형문제 #모의고사기출변형문제 #2021학년도수능특강자료 #KSP국어문제연구소 #국어문제연구소 #2021학년도수특문학해설과문제 #2020년모의고사기출문학해설과변형문제판매 #2019년모의고사기출문학해설과변형문제판매 #2022학년도수능특강해설 #2022학년도수능특강변형문제 #2022학년도언어와매체변형문제 # 2022학년도수능특강화법과작문변형문제 #2022학년도수능완성지문해설과변형문제 #20219월고1,2,3학년모의고사 #수능평가원모의고사지문해설,변형문제 #EBS독해의원리변형문제 #2022학년도수능문학독서지문해설과변형문제 #2022학년도수능언어와매체, 화법과작문변형문제 #2022학년도기출모의고사변형문제 #EBS올림포스독서변형문제 #EBS독서독해의원리변형문제 #평가원모의고사변형문제 #평가원모의고사지문해설 #2023학년도수능특강문학지문해설과변형문제 #2023수특독서지문해설과변형문제 #2023수능특강화법과작문 #2023학년도수능특강언어와매체변형문제 #20223월고1,2,3학년모의고사 #20223월모의고사문학지문해설과변형문제 #20223월모의고사독서지문해설과변형문제 #20223월화법과작문변형문제 #20223월모의고사문법변형문제 #20223월언어와매체변형문제 #20224월고3모의고사 #20224월고3모의고사기출문학,독서해설과변형문제 # 20226월 모의고사해설과변형문제 #2023학년도 수능완성 해설과변형문제 #20227월고3모의고사지문해설과변형문제 #20229월평가원 모의고사 #20229월고1,2모의고사 #202210월고3모의고사 #2023학년도수능기출 #202211월고1모의고사 #202211월고2모의고사 #2024수능특강해설과변형문제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