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배요 아배요
아버지의 경상도 사투리 - 애틋한 토속적 정감 부각.
내 눈이 티눈인 걸
문맹-축문을 못 쓰는 처지.
아배도 알지러요.
알지요.
등잔불도 없는 제사상에
가난한 가정 형편.
축문이 당한기요. 제사 - 망자와의 소통 수단.
제사 때 읽는 추모 글. 당키나 한가요, 당치 않아요.
눌러 눌러
단어의 반복 - 정성과 애틋함 강조.
소금에 밥이나 많이 묵고 가이소.
가난한 살림 - 죽은 아버지에 대한 정성.
윤사월 보릿고개
춘궁기, 힘겨운 시기, 쌀은 떨어지고 보리는 수확되기 이전인 힘든 시기.
아배도 알지러요.
↱ 두 마리.
간고등어 한 손이믄
선친이 좋아하던 음식.
아배 소원 풀어들이련만
아버지의 소원이 들어주지 못함. 안타까움.
저승길 배고플라요.
소금에 밥이나 많이 묵고 묵고 가이소.
반복, 죽은 아버지에 대한 정성.
⇒ 아버지의 제사상에 올리는 가난한 아들의 축문
갈 래 : 자유시. 서정시
성 격 : 토속적. 민속적, 향토적, 전통적
작 가 : 박목월
어 조 : 대화조의 어조 / 아버지와 아들 간의 정감어린 어조
제 재 : 아버지의 제사, 축문
주 제 : 죽은 아버지에 대한 애틋한 사랑과 정성
특 징
① 만술 아비의 한(恨)을 드러내고 아버지에 대한 끈끈한 정(情)을 보여줌.
② 1연과 2연의 화자가 다른 인물로 구성됨- 두 명의 화자를 내세워 대화체로 시상을 전개함.
생략
⑦ 가난한 처지의 만술 아비의 안타까움과 애틋함이 잘 드러남.
해 설
이 시는 가난하지만 정성을 다해 제를 올리는 ‘만술 아비와, 그의 마음이 저승에 닿아 망자도 감응하리라는 또 다른 화자의 말을 대화체 형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1연에서는 아들인 ‘만술 아 비’가 아버지께 제사를 올리며 아버지에 대한 정성을 보이고 있다. ‘만술 아비’는 많이 배우지 못하여 축문을 쓰지도 못하고, 제사상에 등잔불을 켜거나 아버지 생전에 좋아하시던 ‘간고등어’조차 올리지 못할 정도로 가난하지만 ‘소금에 밥’을 정성껏 마련하여 아버지를 대접하고 애도하고 있다. 2연에서는 제삼자인 다른 화자가 ‘만술 아비’에게 아버지의 혼이 감동하여 ‘굵은 밤이슬’이 내린다고 함으로써 ‘만술 아비’의 마음에서 우러난 인정과 정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이 시는 이처럼 이승과 저승 사이의 교감을 따뜻하게 그려 내고 있다.
누룩(이성부)-해설, 정리(2019학년도 수능특강 문학) (0) | 2018.10.31 |
---|---|
알 수 없어요(한용운)-해설, 정리(2019학년도 수능특강 문학) (0) | 2018.10.31 |
초혼(김소월)_해설, 정리(2019학년도 수능특강 문학) (0) | 2018.10.31 |
견여탄(가마꾼. 정약용)-해설,정리(2019학년도 수능특강 문학) (0) | 2018.10.31 |
상사별곡(미상)-해설, 정리(2019학년도 수능특강 문학) (0) | 2018.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