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임경업전(작자 미상)-해설(2019학년도 수능)

본문

728x90

악인의 전형. 실제 인물의 이름 차용. 사실성 부여.

자점심복을 보내 거짓 조서를 전하고 옥에 가두니, 경업이 옥에 갇혀 생각하되,

마음 놓고 부리거나 일을 맡길 수 있는 사람. 영웅적, 비극적 인물.

세자와 대군이 어찌 내 일을 모르고 구치 아니시는고?’

인물의 내적 독백. 감옥에 갇히는 상황을 의아하게 받아들임. 구하지.

하며 주야번민하여 목이 말라 물을 찾는데, 옥졸이 자점의 부촉(咐囑)을 들은 고로 물도 주지 아니하여 경

개체 연결선입니다. 밤낮으로 괴로워함. 옥사장, 옥의 우두머리. 부탁하여 맡김. 원통함.

업이 더욱 한하더니, 전옥(典獄) 관원은 강직한지라 경업의 애매함을 불쌍히 여겨 경업더러 왈,

몹시 억울하거나 원통하여 원망스럽게 생각하더니. 인물의 직접 제시. 작가의 논평자적 개입.

장군을 역적으로 잡음이 다 자점의 흉계니, 주선하여 누명을 벗으라.”

일이 잘되도록 여러 가지 방법으로 힘써.

경업이 그제야 자점의 흉계로 알고 통분을 이기지 못하여 바로 몸을 날려 옥문(獄門)을 깨치고 궐내에 들어

원통하고 분함. 인물의 비범한. 초월적 능력.

을 뵙고 청죄한데, 상이 경업을 보시고 반겨 가로되,

임금. 저지른 죄에 대하여 벌을 줄 것을 청함.

이 만리타국에 갔다가 이제 돌아오매 반가움이 끝이 없거늘 무삼 일로 청죄하느뇨?”

임금이 이품 이상의 신하를 가리키던 이인칭 대명사. --> 임금은 경업이 감옥에 갇혀 있던 일을 모름, 자점의 흉계.

경업이 돈수사죄 ,

엎드려 용서를 빎.

신이 무인년에 북경에 잡혀다가 중간에 도망한 죄는 만사무석이오나, 대명(大明)과 함께 호왕을 베어 병자

만 번 죽어도 아깝지 않을 만큼 죄()가 무거움

년 원수를 갚고 세자와 대군을 모셔오고자 하였더니, 간인에게 속아 북경에 잡혀갔다가 천행으로 살아 돌아 간사한 사람. 하늘이 준 큰 행운.

옵더니, 의주(義州)에서 잡혀 아무 연고인 줄 알지 못하옵고 오늘을 당하와 천안(天顔)을 뵈오니 이제 죽어 도 한이 없사옵니다.” 임금의 얼굴, 용안.

--> 이전에 일어난 일을 요약적으로 제시함.

 

 

갈 래 : 역사 소설, 영웅 소설, 전쟁 소설, 군담 소설

성 격 : 민족적, 비판적, 전기적

작 가 : 미상

배 경 : 조선시대

시 점 : 전지적 작가 시점

사 상 : 척외(斥外) 사상, 배청(排淸) 사상.

주 제 : 임경업의 장군의 충의 정신과 비극적 죽음

특 징

인물의 대화를 중심으로 사건을 사실감 있게 전개함.

중략

악인의 횡포를 징벌함으로써 권선징악의 세계관을 드러냄.


 

인 물

- 임경업 : 조선의 장수. 지조와 절개를 지키는 충신의 전형. 실존 인물로 작가에 의해 민족적 영웅으로 형상화.

- 김자점 : 자신의 사리사욕만 채우는 간신. 충신 임경업을 죽이는 간신의 전형.

 

구 성

- 발단 : 무과에 급제한 경업이 호국윽 구해 줌.

- 전개 : 호국이 의주 부윤인 임경업을 피해 경성을 침략함.

- 위기 : 명나라와 연합하여 호국을 치려다 경업이 포로로 잡힘.

- 절정 : 호왕을 감복시키고 귀국한 임경업을 김자점이 살해함.

- 결말 : 임금은 임경업의 억울한 죽음을 알고 김자점을 문초하여 죽인 다음, 임경업의 충의를 포상함.

 

전체 줄거리

임경업은 어려서부터 각종 병서를 읽고 무예를 익혀 18세에 무과에 장원 급제한다. 그는 산성을 보수하는 임무를 맡아 백성들과 함께 일하고 그들을 잘 보살펴 칭송을 받는다. 호국이 적의 침략을 받게 되자 임경업은 구원병을 이끌고 가서 호국을 도와 승리를 거둔다. 그 후 세력이 강해진 호국은 과거 조선의 은혜를 잊고 기회를 노리다가 마침내 임경업이 지키는 의주를 피해 남하하여 조선을 침공한다. 남한산성으로 피란을 간 임금은 항복하고, 임경업은 호국으로 끌려가는 세자와 대군을 구하려 했지만 임금의 하교를 받고 포기한다. 명나라와 연합하여 호국에 복수하려던 임경업은 호국에 사로잡히게 되지만 호왕 앞에서 당당하게 자기의 소신을 밝힌다. 임경업의 태도에 감동을 받은 호왕은 그를 조선으로 돌려보내지만 간신 김자점의 모략에 의해 임경업은 죽임을 당한다. 임경업의 죽음을 슬퍼하던 임금은 꿈에 나타난 임경업이 억울함을 고하자 전말을 알게 되고, 김자점을 처벌한 후 임경업의 충성심을 기린다.

 

해 설

이 작품은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역사적 인물인 임경업 장군의 영웅적인 일생과 비극적 죽음을 그려 낸 역사 군담~

이하 생략 

728x90

관련글 더보기